HOME> 진료안내> 특수치료

특수치료

체외충격파

체외충격파치료의 작용

  1. 1. 체외 충격파 치료법은 신경의 세포막에 물리적 변화를 일으켜 통증의 인지를 억제시킵니다.
  2. 2. 시술 부위에 화학적 변화 및 화학적 복합체를 형성해서 통증 자극을 감소시킵니다.
  3. 3. 저에너지 충격파가 복합 통로를 통해 신경을 자극할 때 과자극 무통이 발생되어 결국 통증의 전달을 억제하며, 이러한 효과가 시술 동안 통증의 악화가 최소화되는 이유가 됩니다.
  4. 4. 시술 부위에 재 혈관화를 촉진해서 혈액 공급을 증가시키게 됩니다.

체외충격파치료에 효과적인 부위

  • 견관절 석회성 건염, 견관절 회전근개 건증
  • 주관절내, 외상과염(테니스 엘보)
  • 족적 근막염
  • 무릎 퇴행성 관절염
  • 슬개건염
  • 아킬레스 건염
  • 수술 후 통증

체외충격파치료의 안정성

시술 후 부작용으로는 시술 부위 피부의 발적(21%), 일시적인 통증의 악화(4.8%), 혈종형성(4.5%), 편두통(1%) 등이 발생한 보고가 있습니다. 피부 발적의 경우 이로 인해서 치료 중단이나 용량의 감소를 해야하는 경우는 보고되지 않고 있습니다. 다른 부 작용들도 보고는 되고 있으나 빈도가 높지 않습니다.

치료방법

주 3~4회 시술, 시간은 30분 정도

  • 서울아산병원 통증센터
  • 고려대학교구로병원 통증센터
  • 서울청담 우리들병원 통증센터
  • 분당서울대학교병원
  • 건국대학교병원 통증센터
  • 서울 보라매병원 통증센터
  • 서울대학교병원
  • 삼성의료원통증센터